책소개
신자유주의와 코로나19가 던진 질문에13명의 페미니스트가 각자의 자리에서 응답하다페미니즘은 이제 우리 시대의 상식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여성과 남성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권력과 위계에 따른 성폭력을 중단시켜야 한다는 요구는 날이 갈수록 강력해졌다. 하지만 페미니즘이 대중화되면서 여성 주체의 의식이 높아지는 데 비해, 사회는 여전히 그에 발을 맞추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백래시가 심해지자 각자도생의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에게 페미니즘은 ‘여성’만을 위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서로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할 것을 요구하는 코로나19는 신자유주의와 포개지며 페미니즘에 곤란한 질문을 던졌다. 지금 같은 시대에 경계를 넘는 연대가 가능하겠느냐고.『코로나 시대의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크리틱 2』는 전작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페미니스트 크리틱 1』에 이어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현실에 개입해온 13명의 페미니스트의 글을 모은 책이다. 일부 여성이 트랜스젠더 여성의 여대 입학을 반대하고, 성공과 야망을 강조하는 페미니즘이 힘을 얻어가며, 코로나19로 사회가 멈춘 것처럼 보여도 결코 멈출 수 없는 돌봄을 여성이 감당하고 있는 현실은 페미니즘이 지금 여기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묻는다. 이에 권김현영, 김영옥, 김은실, 김주희, 김현미, 민가영, 손희정, 신경아, 이현재, 장이정수, 전희경, 정희진, 최현숙은 신자유주의와 코로나19가 촉발한 변화를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사회를 기획하고자 질문에 답했다. 이 책은 혼란스러운 현실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돌파해나갈 힘을 바라는 독자에게 더 나은 논쟁을 할 수 있는 자원이 되어줄 것이다.
저자소개
여성학 연구자. 융합 글쓰기/인문학 강사. 다학제적 관점에서 공부와 글쓰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서강대학교에서 종교학과 사회학을 공부했고,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여성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삶의 어떤 순간과 동일시할 수 있는 책 앞에서 오래 머물고 싶은 독자이자, 글쓰기의 윤리와 두려움을 잊지 않는 필자이기를 소망한다.
《페미니즘의 도전》, 《정희진처럼 읽기》, 《아주 친밀한 폭력》, 《낯선 시선》, 《혼자서 본 영화》를 썼으며,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미투의 정치학》 등의 편저자이다.
e-mail _tobrazil@naver.com
목차
들어가며 팬데믹과 신자유주의를 넘어서는 페미니즘을 모색하며PART 1누가 ‘여성’인가?01 저는 여성이 아닙니까? ‘여성’ 범주를 둘러싼 페미니즘 논쟁_김은실02 여성은 잠재적 피해자인가? ‘무해한 존재’라는 이데올로기를 넘어_권김현영03 나의 안전은 너의 배제로 완성되지 않는다 여대의 대항적 공공성을 향하여_김영옥04 페미니즘은 트랜스젠더를 버리고 가야 한다고요? 횡단과 확장의 페미니즘 운동을 꿈꾸며_손희정PART 2페미니즘이 기획하는 포스트 코로나 사회는?05 코로나19와 재난의 불평등 자본과 남성 중심의 해법에 반대한다_김현미06 재난 앞에 선 여성 노동자 팬데믹 시대의 최전선에서 분투하는 이들을 위하여_신경아07 감염병과 약한 자들의 페미니즘 불안을 마주하는 더 나은 방법을 고민하기_전희경08 방역 감시 사회의 키스와 섹스 ‘정상’ 강제 사회에서 성 소수자의 자유를 옹호하며_최현숙09 한국판 뉴딜을 넘어 페미니스트 그린 뉴딜 재난과 단절의 세상을 위한 해법_장이정수PART 3신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을 넘어서10 N번방은 신종 범죄인가? 얼굴의 젠더 정치_김주희11 신자유주의 시대 안전의 상품화와 페미니즘 피해와 안전에 대한 페미니즘의 질문_민가영12 ‘나쁜 페미니스트’의 정치학 ‘파이’ 나누기에서 더 많은 연대로_이현재13 페미니즘의 대중화를 다시 생각한다 여성의 개인화의 이중적 의미_정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