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된 순간, 여자는 자신을 ‘상실’한다. 무엇을 원하고,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꿈을 가졌는지는 ‘엄마’란 단어 앞에서 중요하지 않다. 이 책은 이와 같이 자신을 잃은 채 ‘엄마’로만 살기를 강요받았던 한 여자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는 결코 한 개인의 이야기가 아니다. ‘엄마’라는, 축복이자 굴레가 된 단어에 압도되어 자신의 삶을 잃어버렸거나 나답게 살지 못한다고 느끼는 모든 여자들의 이야기다. 끊임없이 분투하던 저자는 결국, 변하지 않을 것 같았던 남편과 시어머니의 마음을 열었고, 엄마로서의 삶과 꿈을 가진 여자로서의 삶 모두를 지켜냈다. 이 책은 엄마처럼 살고 싶지 않았으나 엄마처럼 살고 있는 여자들, ‘이기적인 여자’라는 굴레에서 벗어나고 싶은 여자들, 요즘 세상에 성차별이 어디 있냐고 생각하는 남자들, 그 모두를 위한 책이다.
저자소개
고려대학교 역사교육학과를 졸업했다. 신문사와 잡지사에서 7년간 기자로 일하면서, 사람과 세상을 움직이는 힘인 ‘마음’에 이끌렸다. 기자직을 그만두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에 진학해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상담심리학회의 공인 상담심리사가 됐다. 엄마이자 상담사로 살면서 한국의 가부장 문화 속에서 치열하게 버텼다. ‘엄마’, ‘아내’, ‘며느리’에게 요구되는 환상과 굴레 속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자신을 느끼다 ‘나’를 잃지 않기 위해 다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심리학, 여성주의, 생태주의의 시선으로 일상을 바라보며 글로 표현하는 가운데 나를 찾아가고 있다. 현재는 상담을 하며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사람은 물론, 모든 생명을 가진 존재들이 ‘있는 그대로 존중받기’를 꿈꾼다.
목차
프롤로그. 당신도 ‘이름 없는 엄마’로 살고 있나요?1장 상실. 엄마가 되고 잃은 것· 엄마가 됐다, 이름이 사라졌다· 독박육아, 일상을 상실하다 · 엄마의 헌신, 그 한계는 어디일까· 아내에겐 있고, 남편에겐 없는 것· 모두의 삶이 온전해지려면 2장 분열. 내가 아닌 나로 산다는 것· ‘나’ 대신 ‘며느리’를 선택했을 때 · 남편의 성공은 아내의 성공? · 결국 엄마처럼 살고 있는 나 · ‘이기적인 엄마’라는 굴레· 3인분의 삶과 죄책감· “너도 나만큼 벌어보든지!” 3장 깨달음. 시야를 넓히면 보이는 것 ·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다 · ‘도시락’에 대한 다른 생각 · 그것은 가정폭력이다· 나는 ‘누군가를 망치는 사람’이었다· 내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평등’4장 변화. 갈등을 마주해서 얻게 된 것 · 변화는 갈등과 함께 시작된다· ‘내 안의 가부장’ 극복하기· 작은 실천이 가져온 변화들 · 착한 며느리 대신 솔직한 며느리 · 다시는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 누구나 충분히 멋진 사람이다 5장 통합. ‘나답게’ 산다는 것· ‘엄마’가 아닌 ‘나’로서 꾸는 꿈· ‘직장’이 없다고 ‘일’도 없는 건 아니다 · “엄마, 이제 엄마 하고 싶은 거 해”· 친정엄마에게 보내는 편지· 불편하지만 더 나은 방향으로 에필로그. 행복한 삶을 꿈꾸는 모든 이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