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기록 따라 떠나는 한국고전기행
- 저자
- 박의서 저
- 출판사
- 세창출판사
- 출판일
- 2018-06-08
- 등록일
- 2020-02-1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9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옛날의 여행은 어떠했을까?
오늘날과 같이 여행이 대중화되기 이전의 우리 선조들의 국외 여행은 전쟁과 이주 등의 특수한 경우나 유학과 사신 등을 이유로 승려와 관료들에 의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들의 여행 동기 역시 주로 사절, 표류, 조공과 교역 등의 특수한 경우로 국한되어 있었다.이 밖에 우리 조상들은 공녀, 전쟁 수행 결과에 따른 포로와 유민 등의 이유로 여행 아닌 여행을 해야만 했다.
여행사적(旅行史的) 관점에서는 여행 자체가 어려웠던 만큼이나 관련 기록도 많지 않다는 게 문제다. 그나마 일부 여행 관련 기록과 기행문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은 천만다행이지만 여행사적으로 이들이 제대로 정리된 적이 없어 안타까움을 더 하고 있다. 이 책은 그동안 단편적으로만 다루어졌던 우리나라의 여행기록과 기행문들을 여행사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저자소개
22년간 대한민국 관광을 해외에 마케팅 하는 일에 종사하며 뉴욕과 밀라노에서 근무하였다. 이때 주경야독으로 미국 뉴욕의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와 경기대학교에서 ‘여행’과 ‘관광’을 공부했다. 현재 안양대학교 강화배움터에서 ‘여행’과 ‘관광’을 담론으로 학생들과 소통 중이다. 그리고 『기록 따라 떠나는 한국고전기행』 발간을 계기로 ‘글로벌 고전기행’을 정리하는 작업에 골몰하고 있다.
저서로는 여행기 『로망 아프리카』와 『남미종단 잉카트레킹 30일』이 있으며, 관광마케팅 전문서인 『관광이미지와 관광지 포지셔닝』, 『관광상품기획관리』, 『관광의 어제와 오늘』, 『MICE산업론』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한국고전기행’을 넘나들며 _05
1장 서양에 처음 등장한 한반도
한반도를 유럽에 처음 알리다 _16
코레아를 서방에 처음으로 알린 기록 _24
2장 우리 선조들의 국외 여행
낙양 북망산의 고구려인 기록 _32
한국 도교의 창시자 _36
중국에서 지장보살이 된 신라 왕자 _39
중국인이 쓴 『왕오천축국전』? _40
‘서명학파’로 일가를 이룬 현장의 수제자 _53
서역을 정벌한 고구려 출신 당나라 장수 _56
당나라에서 활약한 신라 유학생 _58
기록으로만 남은 ‘입중구법승’과 ‘입축구법승’ _61
삼국시대 사신들의 기록 _63
한·중·일 해상 무역 네트워크의 중심 _66
일본에서 신격화된 우리 선조들 _68
문익점의 목화씨 밀반입설? _72
화냥년과 황후로 엇갈린 공녀들 _74
전쟁포로들의 수난 기록 _79
두 왕자의 인질 생활을 담은 일기 _83
표류가 외교로 _87
루벤스의 《조선 옷을 입은 남자》와 ‘안토니오 코레아’ _91
『서양사정』을 모티브로 쓴 기록 _94
3장 연행사들의 중국 기행
명나라로의 사행 기록 _102
최초의 한글 사행 기록 _104
3대 연행록으로 평가된 기록 _106
한글 연행록의 대표작 _108
외침을 예견하다 _113
유머와 풍자가 넘치는 걸작 _117
한글로 쓰인 연행기 _121
대표적 여행가사 _123
4장 통신사들의 일본 기행
아전 출신의 직업 외교관 _130
227편의 시로 된 기록 _132
일본의 잠재력을 깨우치다 _136
조선통신사들의 안내서 _140
고구마를 조선에 들여오다 _142
『연행가』와 쌍벽을 이루는 여행가사 _143
5장 일본에 억류된 왜란 포로의 기록
중국을 거쳐 일본을 탈출한 기록 _150
일본의 기밀을 상세히 담다 _151
포로로 잡힌 기록 _156
17세기 베트남에 한류를 전하다 _158
6장 외국인들의 한반도 기행
한반도 불교의 남방 전래 흔적 _163
최초의 한반도 여행자 _166
백제에 불교를 전한 인도 승려 _169
신라 김씨 왕가의 시조는 흉노족 왕자 _171
아랍인으로 추정되는 처용 _174
송나라 사신의 고려견문기 _178
한반도에 남겨진 아라비아 사람 흔적 _181
원나라 공주와 여덟 명의 몽골 왕비들 _184
장씨, 설씨, 명씨, 진씨의 시조 _186
베트남에서 귀화한 왕자들 _188
귀화한 왜군 장수 _190
밀린 급여 받으려고 쓴 『하멜표류기』 _191
7장 서양인이 본 근대의 우리 모습
윌리엄 그리피스의 ‘은둔의 나라’ _200
섬세한 여성의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과 이웃 나라들』 _201
새비지 랜도어와 퍼시벌 로웰의 『고요한 아침의 나라』 _202
이탈리아 영사의 사진첩 『코레아 에 코레아니』 _204
우리나라에 처음 등장한 서양식 숙박시설 _205
『조선, 1894년 여름』 _211
예언 시, 「동방의 등불」 _213
8장 고전 지리서와 통역 학습서
최초의 통역안내서 _218
최초의 외국어 학습서 _220
조선에서 제작된 최초의 세계지도 _221
조선에 유입된 최초의 서구식 세계지도 _223
외부 세계를 자세히 알린 천문지리서 _225
한반도 최초의 세계지도첩 _228
주석 참고문헌 _230
기타 참고문헌 _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