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의 주된 내용은 저자가 사회과 교실수업을 관찰하되, 수업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예비교사들의 수업장면을 녹화한 자료, 수업전사지, 수업일지, 인터뷰자료 등을 토대로 수업관찰, 실천적 지식과 반성적 실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등의 연구문제를 질적으로 탐구한 실행연구 사례들이다.
이들 실행연구는 저자가 사회과 예비교사들과 상호 협력하면서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저자는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수업활동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스스로 관찰, 분석, 평가하고 반성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자기장학’의 과정과 방법을 경험케 하였다.
목차
머리말
차례
제1부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육실습과 수업관찰
제1장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육실습과 수업관찰
1. 예비교사와 교육실습
2. 예비교사와 모의수업
3. 수업관찰과 반성적 실천
제2장 교육실습생의 중학교 사회과 수업관찰 내용과 특성
1. 교육실습 학교와 수업관찰
2. 교생의 중학교 사회과 수업관찰
1) 실습학교와 지도교사
2) 사회과 지리수업 참관실습
3. 지도교사의 수업관찰 내용
1) 비전공 중견 여교사의 지리수업 관찰하기
2) 전공 중견 여교사의 지리수업 관찰하기
3) 전공 중견 남교사의 지리수업 관찰하기
4) 전공 초임 여교사의 지리수업 관찰하기
5) 전공 신규 여교사의 지리수업 관찰하기
4. 교생들의 중학교 지리수업 관찰 내용과 특성
5. 정리
제3장 예비교사의 모의수업 관찰과 반성
1. 수업관찰 및 평가도구
2. 동료의 모의수업에 대한 관찰과 평가
3. 자신의 모의수업에 대한 관찰 및 평가
4. 자기수업에 대한 반성과 실천
5. 정리
제2부 사회과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반성적 실천
제4장 사회과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좋은 수업
1. Elbaz가 제시한 실천적 지식의 주요 측면
1) 사회과 교사와 실천적 지식의 내용
2) 사회과 교사와 실천적 지식의 정향
3) 사회과 교사와 실천적 지식의 구조
2. 실천적 지식의 내용과 Shulman의 교수내용지식
3. Schon의 반성과 반성적 실천
4. 사회과 좋은 수업과 기술적 합리성 관점의 문제
제5장 사회과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1. 사회과 예비교사와 공통사회
2. 사회과 좋은 수업에 대한 이미지
3. 좋은 수업에 대한 수업경험의 양상
4. 실천적 지식과 반성에 대한 인식
5. 사회과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특성
6. 정리
제6장 교육실습생의 수업경험과 실천적 지식의 내용
1. 교생의 수업실습과 실천적 지식
2. 실천적 지식의 내용과 그 특성
3. 교생들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과 실천의 지식
1) 개인적인 요소와 실천의 지식
2) 교생들 ‘일부에게 해당하는 요소’와 실천의 지식
3) 교생들 ‘대부분에게 해당하는 요소’와 실천의 지식
4) 교생들 ‘모두에게 해당하는 요소’와 실천의 지식
5) 정리
제7장 교육실습생의 수업조직과 실천적 지식의 구성
1. 상황 속에서 협력하는 교육실습
2. 두 교생의 실천적 지식의 배경
1) 심층 동기와 학교 경험
2) 이론적 지식의 구성과 대학 생활
3. 두 교생의 지리 수업조직과 실천적 지식의 구성
1) 지리 수업조직의 단계와 단락
2) 수업 계획하기: 수업조직을 위한 실제적 지식의 구성
3) 수업 실행하기: 수업조직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
4. 두 교생의 지리 수업조직에 대한 반성적 실천
1) 수업조직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반성
2) 수업조직에 대한 반성의 수준
5. 정리
제3부 사회과 수업과 언어상호작용
제8장 사회과 예비교사와 언어상호작용
1. 수업전문성 함양과 자기장학
2.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석과 AF 분석의 특징
3. 예비교사의 언어상호작용 형태와 특징
1) 관찰한 수업과 자료
2) 사회과 수업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언어의 형태와 특징
3) 언어상호작용의 형태: 교수활동의 주-부 형태
4) 언어상호작용의 지시적, 비지시적 경향
5) 예비교사의 언어상호작용의 반성과 반성적 실천
6) 정리
제9장 사회과 예비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1. 사회과 수업과 상호작용
2. Hyman의 교육적 상호작용 관찰 시스템과 네 가지 수업행동
3. 사회과 예비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관찰과 분석
1) 관찰한 수업과 분석자료
2) 예비교사와 학생의 주요 수업행동
3) 예비교사의 질문 대상과 응답 학생
4) 예비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유형과 패턴
5) 정리
제10장 사회과 예비교사의 몸짓과 의사소통
1. 교실수업에서 교사의 몸짓과 의사소통
1) 신체언어와 의사소통
2) 시각자료와 의사소통
2. 예비교사의 시각자료 설명에서 나타나는 몸짓의 유형과 기능
1) 관찰한 수업과 교실환경
2) 몸짓의 유형분류와 분석준거
3) 몸짓의 유형과 기능
4) 예비교사 몸짓의 기능별 사례와 움직임의 특징
5) 예비교사의 몸짓과 상호작용의 양상
6) 정리
제4부 교사 전문성 발달과 실행연구
제11장 교사 전문성과 지속적인 전문성 발달
1. 교직 전문성과 교사 전문성에 대한 소고
2. 지리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발달과 반성적 실천
3. 사례탐구: 지리교사의 평생에 걸친 교직 전문성 발달 과정
4. 지리교육에서 전문가란?
1) 지리교육자들이 배워야 할 지식
2) 정보를 능숙하게 일반화하는 능력
3) 매끄럽고, 유창하며 효율적인 언행
4) 문제해결에 필요한 요령과 방책에 대한 지식
5) 기본적인 이슈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전문성
6) 지리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유목화하고 분류하는 능력
7) 상황이 다른 과제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8) 지리교육에서 전문성 발달
5. 사례탐구: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지리교사 전문성 발달
1) 전문성 발달 유형
2) 전문성 발달 과정
제12장 지리교육에서 실행연구와 질적 탐구
1. 지리교육과 교육적 실행연구
2. 질적 연구의 필요성과 특징
3. 사례탐구: 지리교사의 실행연구
4. 실행연구의 특징
5. 실행연구의 방법
6. 실행연구의 장점과 장벽
1) 실행연구의 장점
2) 실행연구의 장벽
7. 실행연구의 쟁점
1) 연구결과의 일반화 문제
2) 전문적인 지식과 실제적 지식 간의 차이
3) 연구자와 참여자의 역할 문제
8. 정리
부록
1. 지리교사 자격기준
2. 수업전문성 일반기준과 평가
3. 사회과 수업평가 기준과 수업관찰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