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들여다보는 현미경
조선왕조는 지식인 관료들이 지배하는 문치주의 국가였다. 그런데 그 지식의 근원은 중국이었다. 조선은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여 이것을 토착문화와 융합하여 일본·여진 등 이웃민족에게 전파시켰다. 일본인들은 조선을 중국 문화를 단순히 일본에 전달하는 교량적인 역할을 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본에 전파된 문화는 단순한 중국 문화가 아니다. 조선에서 소화한 조선 문화를 전파한 것이다.
미국에 의해 일제에서 해방되었으므로 서구문화 지상주의가 팽배해지고 문화의 수입선이 미국으로 바뀌었다. 그러다 보니 전통문화를 주체적으로 정리하여 스스로 독자적인 현대문화를 창달할 기회가 없었다. 지금이라도 이러한 일을 해야 할 것이며 이것은 우리의 과제이기도 하다.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도 그러하다.
목차
서문
조선시대사 총설
1. 정치
2. 외교
3. 사상
4. 군사
5. 사회
6. 경제
7. 문화
제1부 사상, 학문으로 배우는 역사와 문화
조선시대 도학(道學)과 사림_설석규
1. 성리학과 도학
2. 사림의 세계관 분화
조선 중기 처사형 선비들의 삶과 학문_신병주
1. 들어가는 말
2. 조선시대 선비의 삶과 선비정신
3. 16세기 처사형 선비들의 형성 배경
4. 16세기 처사형 선비들의 삶과 학문
5. 16세기 선비들의 교유관계
6. 나가는 말
사계(沙溪) 선생의 예학 사상_이영춘
1. 사계 예학의 다양성
2. 고례와 국법의 조화
3. 전통 예속과 현실의 존중
4. 신분에 따른 예의 통용성과 차별성
퇴계학의 바탕으로서 한국말_최봉영
1. 왜 퇴계의 말을 따지는가
2. 퇴계와 주자
3. 선비들이 한국말로써 한문을 배우고 씀
4. 퇴계가 한국말로써 한문을 배우고 씀
5. 퇴계가 心으로써 마음을 밝힘
6. 퇴계가 주자를 넘어서 나감
7. 뒷사람이 퇴게를 높이고 따름
제2부 문화유산으로 배우는 역사와 문화
고문서를 통해 본 옛 사람들의 삶과 문화_김학수
1. 과거의 생활사
2. 관료생활의 이모저모
3. 상속의 사회사
4. 옛 사람들의 행정과 공문서
5. 소외계층의 삶
선인들의 자서전과 자찬묘지명_심경호
1. 삶과 죽음에 대한 선인들의 성찰
2. 선인들의 자서전과 자찬 묘도문자
3. 자찬묘지명의 일례:이것이 무슨 물건인가, 필경 어디로 가는 걸까
4. 자전의 일례:지난 날 뜻이 어그러지고 말았구나
5. 자전시와 자찬(自贊)의 일례:영혼이여 사방 어디로 돌아가랴
6. 맺는 말
풍수의 핵심이해_김기덕
1. 풍수의 본질 '터'문화
2. 풍수의 기본, 사신사(四神砂)의 이해
3. 풍수의 빙밥론과 자생풍수
4. 한국역사에 반영된 풍수상사
5. 화장(火葬)과 풍수사상
6. 풍수의 과제
민화(民畵)란 무엇인가?
1. 민화는 감상을 위한 것인가?
2. 민화는 토속신앙과 세계관이 반영된 그림이다
3. 민화에는 어떤 그림이 있나?
4. 민화에는 주술적 신앙이 반영되어 있다
5. 민화는 '뽄' 그림이다
6. 민화를 이제 어떻게 볼 것인가?
위대한 경제관료 잠곡(潛谷) 김육(金堉)_이헌창
1. 조선시대 최고의 경제관료 김육
2. 김육의 생애
3. 김육의 저술과 사상
4. 김육의 경제정책 구현활동과 그 기여
5. 우리 역사에서 김육이 왜 소중한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