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교육이 가져올 수 있는 온갖 외적 기능들이 아니라, 교육의 고유한 면모나 내적 본질을 묻는 것으로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교육의 허다한 기능들을 교육의 목적으로 둔갑시키기보다는 교육이라는 세계가 추구하는 고유한 가치가 있으며, 이것이 교육의 목적이라는 점을 믿으려 하는 사람들이라야 이 책을 제대로 읽을 수 있다. 교육의 고유한 가치, 즉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추구하려면, 우리가 어떠한 교육의 활동들을 어떠한 교육의 내적인 원리에 맞도록 수행해야 하는지를 고민한다.
목차
1장 교육과 교육학
1. 교육현상과 교육의 개념
2. 교육의 개념 부재: 학문적 공백
3. 교육 현상의 개념화: 교육학의 길
2장 교육의 본질과 기능
1. 기능적 답변과 본질적 답변
2. 교육의 기능에 주목하는 세론
3. 교육의 본질에 대한 물음의 부재
4. 교육의 본질과 교육본위론
3장 세계의 다원성과 본위화
1. 탐구의 대전제
2. 다원적 세계들의 혼재
3. 세계의 차별적 본위화
4장 교육본위적 세계 구분
1. 세속계: 일상적 삶의 무대
2. 수도계: 초월적 지평의 경연장
3. 교육계: 오르내림의 협연장
5장 교육의 본래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
1. 교육의 세속계적 가치: 일상적 삶의 영위와 교육
2. 교육의 수도계적 가치: 초월적 삶의 영위와 교육
3. 교육의 본래적 가치: 교육적 삶의 자족성
6장 교육의 내재적 원리
1. 소크라테스의 '동굴의 비유'
2. 김춘수의 '꽃': 교육을 위한 서시
3. 교육본위론의 '수레바퀴 모형'
4. 교육적 관계의 형성과 유지
7장 교육의 두 가지 활동
1. 상구: 상승과 거듭남의 여정
2. 하화: 하강과 변신의 운동
8장 메타교육과 교육의 본질
1. 교육계의 품위 수준
2. 메타교육의 양상들
3. 메타교육과 교육의 발전
4. 인간의 삶과 교육의 본질
9장 교육학의 갈림길
1. 교육의 개선과 교육학의 개선
2. 학교학의 낡은 전통과 교육학의 새로운 길
3. 교직과목에서의 안주와 교양과목으로의 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