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서구에서 지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진행된 교육개혁운동인 '신교육운동', 그중에서도 특히 독일에서 전개된 '개혁교육학'에 주목하고 있는 책이다. 100년 전의 독일 교육이 안고 있었던 교육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시된 다양한 대안과 그 대안적 프로그램을 시행해나가며 겪었던 어려움들은 현재 우리 나라의 대안교육적 시도와 닮아 있다고 말하면서 현재의 한국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풀어나가는데 있어 '개혁교육학' 운동이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고 있는 책이다.
목차
편집자의 말
머리말
제1장 왜 개혁교육학인가
1. 미래세계와 교육 과제
2. 개혁교육학 연구의 필요성
제2장 개혁교육학의 개념 정의
1. 개혁교육학 개념의 새로운 이해
2. 개혁교육학의 이론적 체계화를 위한 가능성 탐색
제3장 개혁교육학의 시대적 배경
1. 세기의 전환기와 위기 상황
2. 문화비판과 학교비판
제4장 개혁교육학운동의 주요 흐름
1. 어린이로부터의 교육학운동
2. 청소년운동
3. 예술교육운동
4. 전원기숙사학교운동
5. 통합학교 운동
6. 종합적 논의
제5장 개혁교육학의 오늘과 내일
1. 개혁교육학의 현대적 조명
2. 한국의 대안교육 및 대안학교운동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