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상명대학교 신현숙 교수 (현 국어심의회 부위원장)가 2012년 한글날을 맞이하여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자 열여섯 명과 함께 한국어 와 한국어 교육 Ⅰ, Ⅱ??를 출간하였다. 2012년 3월에 출간된 한국어 특강 1 의미와 의미 분석??에 이어, 이번에 출간된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Ⅰ, Ⅱ??는 국내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육자와 한국어 교육을 전공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에게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한국어 교육계와 한국어 교육 현장을 이끌어가는 “젊은 친구”들과 그동안 함께 생각하고 토론한 주제를 모아 엮은 본 도서는 강의실과 연구실에서 논의한 주제와 멋진 답변들을 특강 형식으로 담아내고 있다. 특히 한국어 교수-학습에 필요한 180여 주제를 한국어 교육의 이해, 한국어 정보, 한국어 기능 교육, 한국어 내용 교육으로 나누어 질문과 응답 형식으로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전문성과 현장성을 고려하여 집필진들은 박사논문과 박사후논문에서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집필하였다. 이 책에 담긴 정보는 한국어 교육에 참여하는 교육자, 학습자, 연구자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 머리말 『한국어 특강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Ⅰ, Ⅱ』를 펴내면서
제1부 한국어 기능 교육
1장 듣기 교육 황주원
01. 듣기 교육의 목표는 무엇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을까?
02. 듣기는 수동적이거나 소극적인 활동일까?
03. 듣기는 어떤 과정을 거쳐 처리되는 것일까?
04. 듣기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은 무엇일까?
05. 듣기 교육에서 정확성이 필요할까?
06. 듣기 수업에서 어떤 듣기 담화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07. 학습자들의 모국어 듣기와 교실에서의 한국어 듣기가 다른 점은 무엇일까?
08. 한국어를 잘 듣기 위해서 어떤 전략을 활용할 수 있을까?
09. 듣기 수업 자료 구성에 어떤 내용이 반영되어야 할까?
10. 한국어 듣기를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는 방안은?
2장 말하기 교육 이지영
01.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좋을까?
02.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원리는 무엇일까?
03.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필요한 음성 언어의 특징은 무엇일까?
04. 한국어 말하기 교육은 어떻게 연구되어 왔을까?
05.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정은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06.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할까?
07. 한국어 말하기 활동에는 무엇이 있을까?
08. 한국어 말하기 과제에는 무엇이 있을까?
09. 한국어 말하기 수업은 어떻게 구성할까?
10. 한국어 말하기 오류를 어떻게 수정할까?
11. 한국어 말하기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할까?
3장 읽기 교육 기준성
01.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 교육은 어떤 역할을 할까?
02. 읽기 활동에 관한 관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3.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에 장애가 되는 것은?
04. 한국어 학습자가 활용하는 읽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5. 학습자의 모국어는 읽기 전략 사용에 어떤 영향을 줄까?
06. 한국어 읽기 교육에 활용할 읽기 자료는 어떻게 선정해야 할까?
07. 읽기 교수-학습 모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8.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읽기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9. 읽기 단계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읽기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0. 한국어 읽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은?
4장 쓰기 교육 양태영
01. 쓰기 교육의 특징은 무엇이 있을까?
02.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접근 방법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03. 결과중심 접근법과 과정중심 접근법의 쓰기 교육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04. 장르중심 쓰기 교육이란 무엇인가?
05. 한국어 쓰기 교육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좋을까?
06. 쓰기 수업 설계에 어떤 원리를 적용할 수 있을까?
07. 쓰기 활동에는 어떤 유형이 있을까?
08. 쓰기 평가의 목적과 내용은 무엇인가?
09. 교사는 쓰기 수업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10. 학습자의 쓰기 오류는 어떻게 수정해 주는 것이 좋을까?
제2부 한국어 내용 교육
5장 발음 교육 이효정
01. 발음 교육을 해야 하는 이유는?
02. 발음은 어떤 단계에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03. 발음은 어떤 순서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04.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는?
05. 한국어 모음은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
06. 한국어 자음은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
07. 한국어 음절과 받침은 어떻게 교육할까?
08. 한국어 운소는 어떻게 교육할까?
09. 한국어 음운 변동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10. 홑받침 중화 규칙의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11. 겹받침의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12. 동화 현상은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13. 경음화와 격음화는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14. 구개음화와 [ㄴ] 첨가의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6장 어휘 교육 이경수
01. 단어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02. 어휘 분석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3. 어휘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
04. 한국어 어휘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
05. 한국어 합성어의 특징은 무엇일까?
06. 한국어 파생어의 특징은 무엇일까?
07. 어휘의 의미 관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8.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어휘는?
09. 새로 생겨나는 어휘의 문화적 함의는 무엇일까?
10. 머릿속 사전이란 무엇인가?
11. 어휘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이 있을까?
12. 어휘 교수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7장 문법 교육 정인아
01. 문법 교육은 왜 필요할까?
02. 한국어 문법은 국어 문법과 어떻게 다를까?
03.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는 무엇일까?
04. 한국어 문법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 왔을까?
05.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은 어떤 것일까?
06. 한국어 문법 교육은 현장 수업에서 어떤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까?
07. 한국어 교실에서 문법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을까?
08. 한국어 문법을 제시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9. 한국어 문법을 연습하고 생성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0.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오류는 어떻게 수정할까?
11.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유의할 점은 무엇일까?
12. 한국어 문법에서 증거성이란 무엇일까?
8장 문화 교육 백승희
01. 문화 교육이란 무엇일까?
02.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03.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범위와 대상은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
04. 문화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05.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까?
06. 문화 교육은 학습자 수준에 따라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
07.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08.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과제는 무엇일까?
9장 온라인 교육 박선아
01.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언어 교육은 어떻게 발전해 왔을까?
02. 컴퓨터를 활용한 언어 교육의 현황은 어떠할까?
03. 온라인을 통한 한국어와 문화 교육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04. 재외동포의 한국어 교육에 한류가 어떤 영향을 미칠까?
05. 한국어를 배우기 위한 무료 온라인 강좌는?
06. 온라인을 활용한 언어 교육의 과제는 무엇일까?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