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상명대학교 신현숙 교수 (현 국어심의회 부위원장)가 2012년 한글날을 맞이하여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자 열여섯 명과 함께 한국어 와 한국어 교육 Ⅰ, Ⅱ??를 출간하였다. 2012년 3월에 출간된 한국어 특강 1 의미와 의미 분석??에 이어, 이번에 출간된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Ⅰ, Ⅱ??는 국내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육자와 한국어 교육을 전공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에게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한국어 교육계와 한국어 교육 현장을 이끌어가는 “젊은 친구”들과 그동안 함께 생각하고 토론한 주제를 모아 엮은 본 도서는 강의실과 연구실에서 논의한 주제와 멋진 답변들을 특강 형식으로 담아내고 있다. 특히 한국어 교수-학습에 필요한 180여 주제를 한국어 교육의 이해, 한국어 정보, 한국어 기능 교육, 한국어 내용 교육으로 나누어 질문과 응답 형식으로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전문성과 현장성을 고려하여 집필진들은 박사논문과 박사후논문에서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집필하였다. 이 책에 담긴 정보는 한국어 교육에 참여하는 교육자, 학습자, 연구자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 머리말 『한국어 특강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Ⅰ, Ⅱ』를 펴내면서
제1부 한국어 교육의 이해
1장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신현숙
01. 국어와 한국어의 관계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2.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관계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03. 국어 교육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가?
04. 한국어 교육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
05. 한국어 학습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06. 한국어 교육자는 어떤 자격이 필요할까?
07. 한국어 교육 현장의 변천과정은 어떻게 정리할 수 있을까?
08.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여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2장 한국어 교육과정 이은희
01. 교육과정은 어떤 절차로 설계되는가?
02. 교수요목의 유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
03. 내용중심 교수요목은 무엇일까?
04. 과정중심/ 결과중심 교수요목은 한국어 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05. 과제중심 교수요목은 절차적 교수요목과 어떻게 다를까?
06.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은 어떻게 구성할까?
07. 일반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어떠해야 할까?
08.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어떠해야 할까?
09.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은 어떠해야 할까?
10.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은 어떠해야 할까?
11.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교육과정은 어떤 특징을 가질까?
3장 한국어 교수법 이종은
01. 언어 교수법은 언어관/ 언어 이론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을까?
02. 한국어 교육에 적용 가능한 교수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3. 문법번역식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04. 직접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05. 상황중심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06. 청각구두식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07. 전신반응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08. 침묵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09. 총체적 언어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10. 어휘중심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11. 의사소통식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12. 과제중심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13. 내용중심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일까?
4장 한국어 교재 최유리
01. 교재란 무엇인가?
02. 한국어 교재는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가?
03. 한국어 교재는 어떻게 개발하는가?
04. 특수목적의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어떤 교재가 개발되었는가?
05. 한국어 교재에서 어휘는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
06. 한국어 교재에서 문법은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
07. 한국어 교재에서 과제는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
08. 기타 단원 구성 요소는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
5장 한국어 평가 김보경
01. 평가란 무엇이며 왜 하는 것일까?
02. 평가 도구는 어떤 요건을 필요로 할까?
03. 평가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4. 대안적 평가란 무엇일까?
05. 한국어 듣기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06. 한국어 말하기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07. 한국어 읽기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08. 한국어 쓰기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09. 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별 평가 내용은 무엇이며, 국내외의 한국어능력 평가 도구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10. 유럽공통참조기준과 ACTFL 가이드라인을 한국어 평가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제2부 한국어 정보
6장 국어사 정보 이유기
01. 현대국어의 이해에 국어사 정보가 왜 필요한가?
02. 합성어의 불규칙성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나?
03. 파생어의 불규칙성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나?
04. 명사류 어휘의 쌍형어는 어떻게 형성되었나?
05. 불규칙 활용은 어떤 과정으로 형성되었나? (1)
06. 불규칙 활용은 어떤 과정으로 형성되었나? (2)
07. 오분석에 따른 어휘의 재구조화에는 어떤 것이 있나?
08. 어간과 선어말어미가 결합한 어간의 재구조화에는 어떤 것이 있나?
09. 관형격 조사 ‘의’는 왜 [에]로 발음되고 있나?
10. 부사격 조사의 쓰임의 차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
11. 서술격조사의 활용형에 얽힌 비밀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2. ‘-니, -네’의 오용은 왜 발생하는가?
13. 청자 높임의 ‘-(으)이-’는 소멸하였는가?
7장 한국어 어문 규정에 실린 음성과 음운 정보 신현숙
01. 한국어 음운 목록은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02. 한국어 표준 발음법은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03. 한글 맞춤법은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04. 한글 맞춤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띄어쓰기는?
05. 한글 맞춤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문장 부호는?
06. 한글 맞춤법에 실린 그 밖의 것에는 어떤 규정이 있는가?
07. 로마자 표기법은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08. 외래어 표기법은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8장 문법 정보 박건숙
01. 문법 정보란 무엇이며,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정보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02. 한국어 교육에서 필요한 문법 정보는 어떤 것이 있을까?
03. 문법 정보는 어떻게 구축해야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04. 문법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 자료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5. 명사의 문법 정보는 어떻게 구축할 수 있을까?
06. 단어 형성 양상의 문법 정보는 어떻게 구축할까?
07. 동사의 문법 정보는 어떻게 구축할 수 있을까?
08. 지시어의 문법 정보는 어떻게 구축할까?
09. 어휘장을 중심으로 한 문법 정보는 어떻게 구축할까?
10. 조사의 문법 정보는 어떻게 구축할 수 있을까?
11. 어미의 문법 정보는 어떻게 구축할 수 있을까?
9장 의미와 화용 정보 김영란
01. 의미 정보와 화용 정보란 무엇인가?
02. 의미 정보와 화용 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언어학적 지식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03. 어휘소의 의미 정보는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04. 어휘 교육에서 어휘장 정보는 어떤 활용 가치가 있는가?
05. 어휘장을 구성하는 어휘소의 개별 의미는 어떻게 분석할까?
06. 어휘의 의미 관계 정보로는 무엇이 있는가?
07. 문장의 구조와 의미는 어떤 상관 관계가 있을까?
08. 문장 유형이 문장의 의미 해석에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있을까?
09. 발화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10. 발화의 의사소통 기능은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11. 화자가 직접 표현 대신 간접 표현을 선택하는 이유는?
12. 구어 담화인 대화의 구성과 이해에 필요한 정보는 무엇일까?
13. 문어 담화인 텍스트의 구성과 이해에 필요한 정보는 무엇일까?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