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급변하는 시대상에 맞춰 쓴
좋은 프로듀서와 프로그램을 향한 친절한 길잡이
디지털시대, 방송 제작 프로듀서들이 직면한 도전
미디어 생태계가 변하고 있다. 디지털시대를 맞아 뉴미디어와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콘텐츠 소비 패턴도 바뀌었다. 젊은 층은 더 이상 TV를 보지 않아 ‘TV 제로, 모바일 온리’ 세대로 불린다. 즉, 모바일과 SNS, 인터넷으로 콘텐츠를 소비한다. 이제 TV라는 매체를 뛰어 넘어 스마트미디어 맞춤형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과거의 TV 콘텐츠 개발 성공 방정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책은 〈삼시세끼〉, 〈썰전〉, 〈K팝스타〉, 〈시그널〉 등 화제의 프로그램 제작자 11인의 PD가 직접 들려주는 그들의 생생한 제작노하우와 방송 흐름의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각 단계별 구체적인 방법과 풍부한 실습 자료들을 통해 스스로 제작 역량을 키우고 더 나은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공동 저자인 장해랑, 이상요 교수는 KBS 프로듀서로 입사해 방송 현장에서 여러 유명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작해본 경험을 갖고 있다. 현재는 방송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자가 되어 한국PD교육원과 세명대 저널리즘스쿨대학원에서 후배양성에 힘쓰고 있다. 인터뷰하고 싶은 사람을 만나고 궁금한 일을 탐사하며 취재하는 것을 행복한 여정으로 여기는 두 저자는 프로듀서의 현재와 미래를 고민하며 책 속에서 그만의 답을 내놓았다.
목차
들어가며
1부 프로듀서와 프로그램의 미래
1장 디지털시대, 프로그램의 진화와 혁신
1.1.1. 1. 한국 미디어시장, ‘6용(龍) 체제’로 재편되다
1.1.2. 2. TV가 지고 모바일이 떠오른다
1.1.3. 3. 웹/모바일 기반 프로그램의 진화와 혁신
2장 프로듀서는 누구인가
1.1.4. 1. 프로듀서는 무엇으로 사는가
1.1.5. 2. 프로듀서는 어떤 일을 하는가
1.1.6. 3. 프로듀서는 기자와 어떻게 다른가
3장 프로듀서는 어떤 자질을 갖추어야 하나
1.1.7. 1. 인간과 세계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이 있어야 한다
1.1.8. 2. 프로듀서는 영상문법의 창조자이면서 파괴자다
1.1.9. 3. 프로듀서는 어떤 업무를 맡고 있나
1.1.10. 4. 디지털시대의 프로듀서
2부 디지털 스토리텔링
- 현장 프로듀서가 말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1.1.11. 선한 버라이어티로 힐링 밥상 차려주기 tvN 〈삼시세끼〉, 〈꽃보다 할배〉 나영석PD
1.1.12. ‘날것’으로 전달하는 뉴스의 숨은 의미 JTBC 〈썰전〉 김은정PD
1.1.13. 음악 자체의 감동을 추구해 온 진짜 오디션 6년 SBS 〈K팝스타〉 박성훈PD
1.1.14. 웹과 현실, 두 세계로 그려낸 인간의 조건 MBC 〈W〉 정대윤PD
1.1.15. ‘판소리뮤직다큐드라마’로 풀어낸 시대정신 KBS 〈시대의 작창 판소리〉 손성배PD
1.1.16. 예능과 디지털 넘나드는 ‘미래 미디어 공상가’ KBS MCN 사업팀장 고찬수PD
1.1.17. 장르드라마 성공신화 쓴 ‘석테일’ tvN 〈시그널〉, 〈미생〉 김원석PD
1.1.18. 관점과 형식이 바뀌면 내용이 달라진다 KBS 〈임진왜란 1592〉 김한솔PD
1.1.19. 듣는 음악 예능으로 종편 최대 히트작 만들어 JTBC 〈히든싱어〉 조승욱PD
1.1.20. 영상으로 그려낸 음악다큐멘터리의 지적탐험 EBS 〈악기는 무엇으로 사는가〉 백경석PD
1.1.21. 예능집단창작시스템으로 만든 복고드라마 신화 tvN 〈응답하라〉 시리즈 신원호PD
3부 실전, 프로그램 제작론
1장 프로그램 제작의 기초
1.1.22. 1. 프로그램 제작 3단계
1.1.23. 2. 프로그램의 ‘의미’는 어떻게 창출되는가?
1.1.24. 3. 스토리텔링
2장 프로그램 제작과 실습
1.1.25. 1.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1.1.26. 2. 프로그램 제작의 실제
1.1.27. 기획 / 구성 / 촬영 / 편집과 원고작성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