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디어 심리학
- 저자
- 나은영 저
- 출판사
- 한나래
- 출판일
- 2017-01-26
- 등록일
- 2020-02-10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6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인간 중심’의 미디어 심리
그동안 나온 미디어에 대한 연구와 달리 커뮤니케이션학은 물론 사회 심리학과의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 중심’의 미디어 심리를 강조하고 있다. 우리가 미디어를 통해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미디어의 각 장르별 특성은 무엇이고 각 장르의 독특한 연결 구조에 의해 어떠한 심리가 작용하고 있는 것인지 등을 사회 심리학 이론을 적용시켜 밀도있게 분석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장르 간 융합 현상과 인터넷, 모바일 폰,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와 예술의 접점인 미디어 아트 등에 대해서도 심도있게 다룬다.
미디어, 심리학, 문화연구 등의 관련 전공자와 연구자는 물론, 관련 업계 종사자, 미디어와 심리학, 대중 문화 등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이 다양한 미디어와 관련된 심리학적 접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책에서는 미디어와 관련된 심리를 크게 다음과 같은 세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다른 사람들의 삶을 관찰함으로써 사회비교를 통한 소통의 즐거움을 경험하는, 타인 지향적 정서에 기반을 둔 ‘소통의 심리,’ 콘텐츠 자체에 몰입하여 즐기는, 자기 지향적 정서에 기반을 둔 ‘즐김의 심리,’ 이 두 가지가 융합되어 나타나는 ‘디지털 미디어의 심리’가 바로 그것이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북대학교 언론심리학부 교수를 거쳐, 지금은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 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방송학회 학술상을 수상한 『미디어심리학』과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인간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와『현대 사회심리학 연구』(공저),『세계의 문화와 조직』(공역),『피터의 원리』『정신, 자아, 사회』, 『미디어 연구방법』(역서)가 있으며, 논문으로「여론 정보에 의한 태도 변화」,「미디어 폭력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심리적 효과」,「문화 간 의사 소통의 관점에서 본 국제 협상」,「인터넷 · PC 통신 몰입 수준에 따른 행동 양식의 차이」,「정치 광고와 상업 광고에 응용되는 사회심리학적 원리」,「한국인과 이동 전화 커뮤니케이션」,「여성의 뉴 미디어 이용과 가치관」등이 있다. 소셜 미디어와 설득커뮤니케이션, 디지털시대 청소년의 소통문화, SNS의 사회심리학적 분석이 주요 연구 분야다.
목차
머리말
1부 미디어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장 미디어 심리학: 인간 본성의 소통과 즐김
2장 미디어 심리학의 구성 요소: 인간의 욕구와 연결 미디어
2부 등장 인물과의 관계에 초점이 있는 장르: 소통과 사회 비교
3장 드라마와 영화: 감정 이입과 동일시, 서스펜스
4장 정서 토크쇼와 청중 참여 프로그램: 사회 비교와 유사 사회적 상호 작용
5장 코미디, 비극 및 공포물: 웃음, 감동 및 자극 추구
6장 뉴스와 다큐멘터리의 이해: 정보와 사회 비교
3부 콘텐츠 자체에 초점이 있는 장르: 즐김과 통제
7장 음악과 정서: 흥분과 평온
8장 게임: 통제의 즐거움과 통제 상실
9장 스포츠: 즐김과 대리 만족
4부 디지털 미디어와 미디어 심리: 상호 작용성과 몰입
10장 소셜 미디어와 콘텐츠 공유: 소통과 즐김의 융합
11장 미디어 아트의 소통과 즐김: 반응하는 환경과의 상호 작용성
5부 인간 중심의 네트워크 미디어 심리학
12장 소통과 즐김의 네트워크화: 연결의 극대화와 인간의 본성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