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당은 글방, 서방, 책방, 서재 등으로 불리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민 교육기관이다. 서당은 향촌 서민들의 교육에 기반을 두고 그 교육적 생명력을 오랫동안 유지하였다. 서당은 전통사회에서 서민의 교육기관으로서 존속되고, 근대교육 도입기에도 촌락을 근거로 꾸준히 전통 교육을 실시하였다. 일제 식민지 시기에는 민족 교육기관으로서의 명맥을 유지하는 교육적 생명력을 지니고 있었고, 해방 이후에는 향촌의 부족한 초등교육의 수요를 보완하고, 6·25 전쟁 이후의 빈곤한 가정의 초등교육 이후의 일시적인 교육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한국의 근대학교가 크게 발전되었던 1970년대까지 궁벽한 향촌의 서민에게 전통교육을 시행하고 있었다. 서당교육은 전통교육, 근대교육, 그리고 현대교육의 맥락 속에서 한국 교육의 생명력을 지켜 왔다. 본서는 저자가 정년을 맞이하여 그 동안에 저술한 서당교육에 관한 논문을 정리하여 펴낸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당교육의 구술사적 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 강원지역 서당을 중심으로-
I. 서론
II. 구술사의 개념과 연구방법
1. 구술사의 개념
2. 구술사 연구의 방법
III. 한국교육사연구에서 구술사 연구의 특징과 유의점
1. 구술사 연구의 특징
2. 구술사 연구의 유의점
IV. 구술사 연구사례:구술사 연구방법을 통한 서당교육 연구의 실제
1. 강원도 지역 서당교육의 구술사 연구기획
2. 구술사 연구의 실제와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제2장. 강원도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Ⅰ. 서론
Ⅱ. 본론
1. 서당의 교육적 성격
2. 서당 명칭
3. 서당의 존폐시기
4. 훈장
5. 서당의 학생
6. 서당의 교육
7. 서당풍속
8. 서당의 운영
9. 서당의 시설
Ⅲ.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서당 훈장의 구술사적 연구
-일제 강점기 이후를 중심으로-
Ⅰ. 서론
1. 서당교육의 구술사적 연구의 의의와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Ⅱ. 서당 훈장의 교육실제
1. 훈장의 자격
2. 훈장의 품위
3. 훈장의 임용
4. 훈장의 역할
5. 훈장의 생활
6. 훈장의 체벌
7. 훈장의 복지
Ⅲ. 결론
참고문헌
제4장. 서당의 학습방법
Ⅰ. 서론
Ⅱ. 서당의 학습일과
Ⅲ. 서당의 좌석배치
Ⅳ. 강독 / 133
Ⅴ. 학습진도 / 138
Ⅵ. 서당의 습자교육 / 140
Ⅶ. 결론 / 141
제5장. 서당교육에서 학습놀이
I. 서론
II. 학습놀이의 교육적 의미
1. 놀이의 본질과 의미
2. 학습놀이의 교육적 효과
III. 서당 학습놀이의 실제
1. 서당 학습놀이의 교육적 의미
2. 서당의 학습놀이의 형태와 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제6장. 서당의 학습용구에 관한 연구
Ⅰ. 서론
Ⅱ. 서당의 학습용구
1. 습자(習字)에 사용한 학습용구
2. 강독(講讀)에 사용한 학습용구
3. 기타 서당에서 사용한 용구
Ⅲ. 필공(筆工)
1. 필공의 명칭
2. 필공의 역할
3. 필공의 생활
4. 필공의 애환
Ⅳ. 결론
참고문헌
제7장. 서당 풍속에 관한 고찰
I. 서론
Ⅱ. 서당 풍속과 교육의 실제
1. 책시세
2. 개접
3. 파접
4. 백일장과 장원례
5. 하과와 초당
6. 서당 명칭
III. 결론
1. 서당 위치
참고문헌
20세기 서당교육연구 참고문헌
부록. 훈장 경험자
집필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