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연극과 이미지의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고 특히 영화와의 관계에서 연극을 조망하려는 노력을 지속해 온 저자가 연극과 영화의 관계를 철학적, 미학적으로 풀어낸 책이다. 그동안 연극 관련 잡지에 발표한 평론과 학회에 발표한 논문 가운데 영화와 관련이 있거나 이미지에 집중한 연극 혹은 언어에 대해 성찰을 하고 있는 연극에 관련된 필자의 글들을 한 권의 단행본으로 모았다.
목차
제1부 무대와 스크린의 만남
I. 연극, 영화를 만나다
1. [스틸라이프]와 [무용] : 변화와 새로움
2. [더 리더] : 소리 언어와 문자 언어
3. [도그빌]의 연극성
4. [도쿄]의 [다락방]
5. [눈먼 자들의 도시] : 잃어버린 것을 되찾기
6. [로나의 침묵] : 말 없음의 메아리
7. [디스트릭트 9] : 중심과 변방의 의미
8. [비밀과 거짓말], 종족이 다른데 가족이라고?
9. 3D [아바타] & 4D 연극
10. 아버지의 이름으로 : [아빠의 화장실]과 [디스 이즈 잉글랜드]
11. [헨젤과 그레텔] : 고통스런 기억이 머무는 숲
12. [다우트] : 의심하는 자여, 그대 이름은 인간이니
13. [워낭소리]와 [자본론 제1권]
Ⅱ. 영화, 연극을 만나다
1. 연극과 영화
2. 연극 속 영화, 영화 속 연극 : [셰익스피어 인 러브]
3. 영화는 영화다 : [여자는 여자다]에 나타난 현대적 연극성
4. 연극 [날 보러 와요] & 영화 [살인의 추억]
: ‘살인의 추억을 보러와요?’
5. 연극 [시련] & 영화 [크루서블]
6. 영화 [올드 보이], 무대에 서다
7. 공간을 통해 본 영화 그리고 연극
제2부 새 시대 새 연극
I. 비언어 연극, 매체 연극의 실제
1. 로베르 르빠주의 [달의 저편]
2. 마르셀 마르소의 마임, 그 환상의 세계
3. 침묵의 언어, 시의 언어, ‘무멘산츠 넥스트’
4. 슬라바 폴루닌의 [스노우쇼]
5. 새로운 [로미오와 줄리엣]
6. 기억의 창고, [광대들의 학교]
7. 무대에서 만난 단테의 『신곡』
8. [아니마(Anima)]와 뉴밀레니엄 시대의 연극
9. 무엇을 위한 [창세기]인가?
10. 소리와 리듬, 세상의 중심에 서다 : [오셀로]와 [엘렉트라]
11. 되돌릴 수 없는 비극의 수레바퀴, [오셀로]
12. 새로운 무대 공간을 위하여 : [라 까뇨뜨]와 [리체르카레]
Ⅱ. 연극 : 이미지 그리고 언어와의 투쟁
1. 연극과 이미지
2. 르빠주의 연극 세계-무대적 메타언어
3. [안데르센 프로젝트]에서 변방과 중심 개념
4. [오타강의 일곱 지류]에 나타난 이미지의 진실성
5. 무대 위의 시각 마술사-로베르 르빠주
6. [대머리 여가수], 언어의 힘
7. 타르디유의 연극언어 1-콜라주
9. 타르디유의 연극언어 2-음악극과 회화극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