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창작 교육이 기교나 기법 차원의 교육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이해와 분석을 넘어서 학습 주체들의 시에 대한 인식과 경험 속에서 의미 있는 문화적 기제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이 책에는 시 텍스트에서 도출 될 수 있는 핵심적인 문제의식을 찾아내고 그것을 강의실과 창작 현장에서 적용시켜온 과정과 결과물들이 담겨 있다.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이미지 선택방식을 통한 시 창작 교육 - '주변의 소재로 그리기'를 중심으로 화자를 활용한 시 교육 및 창작 연구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법 연구 시에 있어서의 상호 텍스트성의 실현양상 연구 문화교육과 문화의 수용문제 문화교육과 제재 선정의 문제 - 서정주의 시를 중심으로
제2부 시와 리듬 시와 영상예술의 상호 관련성 연구 백석 시의 '옛것' 모티프와 상상력 백석 시와 '어린아이'
제3부 『靑鹿集』수록 박두진 시 연구 서정주 시와 산문에 나타난 김범부의 영향 함석헌의 시와 시 정신의 양상에 대한 연구